한국의 교육지표 (2023) - 요약 및 평생교육사 입장에서의 분석
교육부 홈페이지에 등록된 한국의 교육지표(2023) 현황입니다.
요약 및 분석
[한국 학생들의 교과 정의적 특성 및 학업 성취도]
1. 국어, 수학, 영어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
• 학생들의 자신감, 가치, 흥미, 학습의욕이 학업 성취도와 밀접한 관련
• 고등학교와 중학교 학생의 각 교과별 정의적 특성에 따라 성취도 차이 발생
2. 2022년 정의적 특성 비율
■ 중학교 학생 기준
• 국어: 자신감 43.1%, 흥미 45.6%, 학습의욕 68.9%
• 수학: 자신감 41.1%, 흥미 47.0%, 학습의욕 50.7%
• 영어: 자신감 45.4%, 흥미 45.4%, 학습의욕 71.4%
■ 고등학교 학생 기준
• 국어: 자신감 42.3%, 흥미 36.8%, 학습의욕 69.1%
• 수학: 자신감 32.2%, 흥미 40.7%, 학습의욕 47.9%
• 영어: 자신감 43.8%, 흥미 46.9%, 학습의욕 67.5%
3. 학업 성취와의 연관성
• 정의적 특성이 높을수록 학업 성취도도 높은 경향
• 자신감과 흥미가 높은 학생들이 기초학력 미달 비율에서 벗어나 보통학력 이상 유지
• 수학에서 정의적 특성 비율이 낮아, 교육적 지원과 흥미 유발 프로그램 강화 필요
4. 지역 및 성별에 따른 차이
• 대도시 학생이 읍 면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성취도
•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자신감과 학습의욕이 높은 경향
• 국어에서는 대도시와 읍 면 간 성취도 차이가 적지만, 수학과 영어에서는 차이가 크게 나타남
<개선 방향>
• 수학 성취도 향상을 위해 정의적 특성을 높이는 교육적 접근 필요
• 읍 면 지역과 남학생을 대상으로 한 지원 프로그램 요구
• 교과 흥미와 자신감 제고가 학업 성취 향상에 중요하므로, 각 교과별 특성화된 지원 방안 강조
[평생교육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2023 한국 교육지표 주요 정보]
1. 성인 비문해율과 교육 필요성
• 한국 성인의 문해 능력 개선 추세
• 문해 수준 1 이하 성인 비율 존재: 비 문해 성인 대상 교육 프로그램 설계 필요
• 평생교육사 역할: 성인 문해 교육을 통한 기본 문해 능력 향상 지원
2. ICT 역량 및 태도
• 한국 성인의 ICT 활용 능력 평균 이상 (OECD 주요국 대비)
• 일부 연령층 및 소외 계층의 낮은 ICT 활용도
• 평생교육사 역할: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통한 디지털 격차 해소
3. 고등교육 이수율과 고용률
• 고등교육 이수율: 한국이 OECD 평균보다 높음
• 고등교육 이수 성인의 높은 고용 안정성
• 평생교육사 역할: 학위 취득 및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성인 학습자의 고용 기회 확대 지원
4. 교육 수준별 고용률
• 고등교육 이수자의 고용률이 더 높음: 교육이 경제적 안정성에 기여
• 평생교육사 역할: 고용에 유리한 프로그램 설계 및 교육의 중요성 강조
5. 성인 학습 참여 및 만족도
•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학습 만족도
• 학습자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성취감에 기여
• 평생교육사 역할: 프로그램 질 개선 및 학습자 중심 교육 강화